jsp(5)
-
[LocalStorage]_를 사용하여 값을 받거나 저장하기(feat. Spring)
목표] 위와 같이 textfield에 값 입력시 local 저장소에 저장이 되는 것을 해보았습니다. 우선 사용한 메소드를 알아보겠습니다. 값 저장하기] setItem(keyName, keyValue); window.localStorage.setItem(constant,data); keyName으로 key의 값을 저장 이를 불러오는 방법] getItem('KeyName') let userData = window.localStorage.getItem(constant); 그외 사용가능한 window.localStorage 메소드 제거] localStorage.removeItem('KeyName') 전체 제거] localStorage.clear(); ---XMLHttpRequest--- XMLHttpReques..
2022.01.27 -
[WEB 개발]_사용한 함수, 기능 정리 3번
1] li 안의 Template 를 만들고 그 안을 for문으로 원하는 만큼 반복문으로 만들기 시작점을 지정하고 현재의 년도를 함수를 통해 받아온다. for문을 통해 시작점부터 현재의 년도까지 반복하게 된다. 해당하는 html 태그를 만든다음에 template tag에 맞는 값을 생성하고 그 안의 html을 내가 지정한 방식으로 만들게 됩니다. 그리고 node라는 곳에 저장하고 그 값은 true 로 보여지게 됩니다. 그리고 yearList.append(node) 를 적어두면 잘 작동하게 됩니다. 2] 위의 방법으로 만든 template를 어떠한 액션 리스너에 의해 지우고 원하는 값으로 다시 만들 때 사용하는 방법 #안의 값은 querySelector로 떠 온 값을 변수에 지정하고 그값을 넣어준 것입니다...
2021.12.15 -
[초보개발자]_Spring 파일 다운로드_Method 정리
간단하게 버튼을 클릭하면 리스너를 달고 지정한 폴더안에 있는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코드를 연습하면서 사용한 메소드를 정리한다. getElementById(elementId: string): HTMLElement | null; : 지정된 ID에 값을 가진 첫번째 개체에 대한 참조를 반환 파라미터로는 String을 받는다. createElement(tagName: K, options?: ElementCreationOptions): HTMLElementTagNameMap[K]; : 지정된 태그에 대한 요소의 인스턴스를 만듭니다. HTMLElementTagNameMap 안에 정의되어 있음. 이는 인터페이스로 선언되어 있음 appendChild(newChild: T): T; Node.appendChild() 메소드..
2021.12.07 -
[초보개발자]_Web Service, Servlet, JSP 란?
WEB Service Web Service의 기본적인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HTML Form -> Servlet -> HTML Page 1. 사용자가 웹 페이지(HTML Form)를 통해 값을 입력 (Input) 2. Servlet 의 메소드는 입력한 데이터 form data 에 맞게 관련된 정보를 검색 3. 사용자의 요청에 맞는 동적 컨텐츠를 제공한다 (Output) -Form Tag 속성- 1. action : form을 전송할 서버 쪽 스크립트 파일 지정 2. name : form을 식별하기 위한 이름 3. accept-charset : 어떤 문자 인코딩을 적용할지 지정 4. target : action에서 지정한 스크립트 파일을 다른 위체에서 열리도록 지정 5. method : form을 서버..
2021.12.07 -
[초보개발자]_JSP 메모장 1번
1. Form태그 -> bootstrap 에서 제공하는 형태이다. 즉 action이 달려있는 의미 그중 submit은 페이지 이동이 강제로 일어난다. SPA 에서는 필요가 없기 때문에 버튼으로 수정하고 Form 태그를 지워줘야 Enter 입력시 tab이 닫히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. form은 전달 형식중 한가지이며 post와 get 방식이 나눠져있다. 2. 함수 선언은 굳이 한번 쓴다면 밖에 할 필요는 없다. -> 이는 메모리 참조로 이어진다. 또한 변수 선언을 let으로 해줘야한다 let으로 선언하지 않을때는 var로 선언되는데 이는 hoisting되어 다른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. 3. 그리드 페이지 검색기능 개발 onchange 와 onkeyup을 이용하여 구현 onchange는 안의 값이 변경..
2021.11.25